인천 유기동물보호센터 (feat.천안,수원,용인,나주)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인천 유기동물보호센터 (feat.천안,수원,용인,나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Emily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5-04-24 21:54

본문

최서윤 유기동물보호센터 의원 유기동물보호센터 개선 촉구광주시의회 최서윤 의원은 31일 제306회 임시회에서 ‘광주시 유기동물보호센터 개선 필요성’에 대하여 5분 발언을 했다.최 의원은 “2022년 유기동물보호센터 구조동물 보호·관리 형태 조사표에 따르면 경기지역 구조동물은 15,964마리에 달하며, 그중 3,802마리만 입양되고 4,219마리는 인도적 처리(안락사)된다. 광주시에는 2023년 약 200마리의 유기동물보호센터 유기동물이 입양되어 입양률이 24%에 그친다”라고 지적하며 “진정한 동물복지는 입양률을 높이고 안락사의 비율을 낮추는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어, “광주시는 대형견을 보호하기엔 비좁은 유기동물보호센터 보호소와 대형견에 대한 편견과 오해가 있어 인도적 처리, 안락사 리스트에 먼저 오를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며, “지난 2023년 11월 용인시와의 유기동물보호센터 협력 사무가 종료되어 광주시 동물보호센터는 위기를 맞아 안락사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보호센터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하다는 의견을 덧붙였다.최서윤 유기동물보호센터 의원은 “보호센터는 격리실, 사육실, 진료실 등 법정 요건에 맞는 시설을 갖춰야 하며, 견사의 청결한 관리를 위해서는 모든 시설이 새롭게 유기동물보호센터 마련되어야 한다”며 “위탁과 직영 운영의 장단점은 존재하겠지만 현재 광주시 보호센터가 가진 문제점과 상황을 고려할 때 직영 운영을 해야 한다”라며 유기동물보호센터 운영 방식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끝으로, “광주시가 동물보호, 동물복지에 있어 대한민국 지자체 중 선도적이고 모범이 되는 표준이 되길 바란다“며 5분 유기동물보호센터 발언을 마무리했다./ 전건주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2020 ING Global. All Rights Reserved.